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2025 주거급여 조건 한눈에 보기

by 돈수다리 2025. 6. 18.
반응형

소득·재산 기준부터 부양의무자 제외까지 완벽 정리!

✅ 주거급여란?

 

주거급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한 유형으로,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

✔️ 월세를 내는 가구는 임대료를,
✔️ 자가 주택 소유자는 수선·보수를 지원받습니다.

 

🧮 2025 주거급여 신청 조건은?

 

📌 1. 소득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48%(월)
1인 약 1,000,000원
2인 약 1,662,000원
3인 약 2,140,000원
4인 약 2,617,000원
 

※ 보건복지부 기준, 2025년 변경 예정 가능성 있음

📌 2. 재산 기준: 지역별 상한

  • 대도시: 1억 5천만 원 이하
  • 중소도시: 1억 2천만 원 이하
  • 농어촌: 9천만 원 이하
    ※ 자동차, 금융자산 등 포함 ‘소득인정액’ 계산

 

🙅‍♂️ 주거급여 부양의무자 기준은 폐지?

 

2021년부터 부양의무자 기준은 주거급여에 한해 폐지되었습니다.
즉, 부모/자녀의 소득이나 재산 때문에 탈락하지 않습니다.

🧾 주거급여 추가 조건 요약


항목 조건내용
신청자격 임차가구 or 자가가구(수선유지 필요)
주거 형태 전세계약, 월세계약, 자가 가능
신청 장소 주민센터 방문 or 복지로 온라인 신청 가능
지원 범위 임대료(임차급여), 자가 수리비(수선급여)

 

2025년 기준 주거급여 자격 요건은

기준 중위소득 48%와 재산 기준이 핵심입니다.


자격이 되는지 애매하다면, 복지로에서 자가진단해보시고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으로 빠르게 신청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