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실업급여 수급기간 총정리|실업급여 신청방법부터 조건, 금액까지

by 돈수다리 2025. 8. 15.
반응형

"실업급여 수급기간이 얼마나 되지?",

"내가 받을 수 있을까?" 같은 고민, 저도 해봤습니다.

 

퇴사를 고민하거나 이미 퇴사하신 분들이라면 

실업급여가 가장 먼저 떠오르실 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정리해 드릴게요👇

  •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얼마나 되는지
  • 수급 조건과 자격은 무엇인지
  •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 내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금액은 얼마나 되는지

 

✅ 실업급여란?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퇴사했을 때,

구직활동을 하는 동안 일정 금액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단,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건 아니고

실업급여 조건과 실업급여 자격을 충족해야만 수급이 가능합니다.

실업급여 수급기간 또한 조건,자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지며,

최소 120일~최대 270일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 50세 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1년 이상 ~ 3년 미만 120일 180일
3년 이상 ~ 5년 미만 150일 210일
5년 이상 ~ 10년 미만 180일 240일
10년 이상 210일 270일

📌 :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1일 단위로 계산되며, 매주 1회씩 지급됩니다.

 

✅ 실업급여 수급자격 조건 정리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비자발적 퇴사일 것

 

정리해고, 계약 만료, 경영상 해고 등

자진퇴사의 경우 일부 예외 인정 있음 (예: 임금체불, 괴롭힘)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이력

퇴사 전 18개월 내 180일 이상 근무해야 함

구직활동 의지 증명 가능

온라인 교육, 구직활동 보고, 이력서 제출 등 필수

 

 

수급자격 인정 신청 후 실업 인정 통과

 

✅ 실업급여 신청방법 요약

  1. 워크넷 회원가입 및 구직신청
  2.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온라인 교육 수강
  3.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관련 서류 제출 필요
  4. 실업인정일마다 구직활동 보고서 제출

📌 팁: 온라인 신청 가능하므로 방문이 어렵다면 워크넷 + 고용센터 홈페이지를 적극 활용하세요.

✅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은?

 

기본적으로 1일 평균임금의 60% × 수급일수로 계산됩니다.

예:
월급 250만원, 일평균임금 약 83,000원
→ 하루 실업급여 약 49,800원
 

2025년 기준 하한액상한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하한액: 최저임금의 80% (약 72,000원 수준)
  • 상한액: 1일 최대 78,000원

 

✅ 실업급여 Q&A 

 

Q. 자진퇴사인데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A. 원칙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예외 인정됩니다.

    (예: 육아, 장거리 통근, 임금체불 등)

 

Q. 실업급여 받는 동안 알바하면 안 되나요?
A. 가능합니다. 하지만 반드시 구직활동 인정범위 내에서 신고해야 하며,

     무단 알바는 부정수급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실업급여 수급기간 마무리 요약

  •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최소 120일~최대 270일
  • 조건: 비자발적 퇴사 + 고용보험 180일 이상
  • 신청방법: 워크넷 등록 → 교육 수강 → 고용센터 신청
  • 금액: 평균임금의 60%, 상한/하한 기준 있음

👉 실업급여는 빨리 신청할수록 유리합니다.

      퇴사 후 최대한 빨리 준비하시길 추천드립니다.